"이월금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나라살림 위키
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
29번째 줄: 29번째 줄:
 
:5. 자체 사업비 중 통계목별 집행율/부서별 집행율/ 분야별 집행율/ 부문별 집행율</br>
 
:5. 자체 사업비 중 통계목별 집행율/부서별 집행율/ 분야별 집행율/ 부문별 집행율</br>
 
:6. 보조 사업비 중 통계목별 집행율/부서별 집행율/ 분야별 집행율/ 부문별 집행율</br>
 
:6. 보조 사업비 중 통계목별 집행율/부서별 집행율/ 분야별 집행율/ 부문별 집행율</br>
*엑셀 관련 함수:  
+
*관련 엑셀 함수: (바로보기)<span class="newwin">[[엑셀]]</span>
:sumif: sumif(조건찾을 영역,조건,합산값 영역)
+
:sumif: sumif(조건찾을 영역,조건,합산값 영역)  
 
:sumifs: sumifs(합산값 영역,조건 찾을 영역1,조건,조건 찾을 영역2,조건2)
 
:sumifs: sumifs(합산값 영역,조건 찾을 영역1,조건,조건 찾을 영역2,조건2)
  

2020년 10월 22일 (목) 19:01 판

정의

당해 회계연도 예산을 다음 회계연도 넘겨서 사용하는 것[1]

이월금은 세출결산상 잉여금에 속함
이월금은 명시이월, 사고이월, 계속비이월을 포함

종류

세가지로 구분 됨

  • 명시이월 : 세출예산 중 경비의 성질상 그 회계연도 내에 지출을 마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지방의회의 의결을 얻어 다음 회계연도에 이월하여 사용[2]
  • 사고이월 : 회계연도 내에 지출원인행위를 하고 불가피한 사유로 당해 회계연도 내에 지출하지 못한 경비와 지출하지 않은 그 부대경비, 지출원인행위를 위하여 입찰공고를 한 경비 중 입찰공고 후 지출원인행위를 할 때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는 경우의 경비, 공익·공공 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손실보상비와 같은 경비, 경상적 성격의 경비 등에 해당할 경우 다음 회계연도에 이월하여 사용[3]
  • 계속비이월 : 사업 완료까지 수년이 걸리는 경우 완공까지 소요되는 기간동안 발생할 예상 경비 총액을 일괄해 의결을 얻고 변경시 다시 의결을 얻을 필요가 없는 경비. 계속비 지출 연한은 당해 회계연도부터 5년 이내[4]

지자체 의견

지자체는 이월금이 많은 이유로 높은 국도비 보조 사업 비율을 꼽음. 국도비 보조금이 늦게 집행돼 지자체는 추경 반영 후 실집행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 시기상 이월 축소 노력에 한게가 있다는 주장

행정안전부 의견

국도비 보조금 집행 전 자체예산으로 성립전 예산을 선집행하라고 주장

나라살림연구소 의견

이월사업은 자체사업 비중, 통계목상 시설비 비중이 큰 만큼 지자체 노력에 따라 이월금 축소 가능

나라살림연구소 이월 현황 분석

  • 요청자료: 재원별예산집행현황
  • 분석방법:
1. 이월사업비 중 자체/ 보조사업 비율
2. 자체 사업 이월비 중 통계목별 비율/부서별 비율/ 분야별 비율/ 부문별 비율
3. 보조사업 이월비 중 통계목별 비율/부서별 비율/ 분야별 비율/ 부문별 비율
4. 이월사업비 중 자체/보조사업 집행률
5. 자체 사업비 중 통계목별 집행율/부서별 집행율/ 분야별 집행율/ 부문별 집행율
6. 보조 사업비 중 통계목별 집행율/부서별 집행율/ 분야별 집행율/ 부문별 집행율
  • 관련 엑셀 함수: (바로보기)엑셀
sumif: sumif(조건찾을 영역,조건,합산값 영역)
sumifs: sumifs(합산값 영역,조건 찾을 영역1,조건,조건 찾을 영역2,조건2)

나라살림연구소 관련 간행물

  • 경기도 여주시 2020년 예산구조혁신방안 연구용역 보고서(`20.9.)
  • 나라살림브리핑 제54호 2020년 전국 이월액 현황(일반회계)바로보기
  • 2019회게연도 총세입 총세출 마감 결과바로보기

각주

틀:각주

  1. 지방재정365 재정용어사전[1]
  2. 지방재정365 재정용어사전[2]
  3. 지방재정365 재정용어사전[3]
  4. 지방재정365 재정용어사전[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