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기구 통계 및 보고서 번역 시 참고사항

나라살림 위키
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
  • foregone revenues는 예상수입/기정수입/세입예상치 등이요. 기재부에서 같은 의미로 주로 쓰는 용어를 쓰시는 게 좋습니다.
  • 파파고는 문장이나 여러 개 개념을 넣으면 그 중에 몇 개가 틀려서 개념어는 각각 끊어서 서치해주시는 게 낫습니다.

그리고 파파고는 끊어서 검색해도 모르는 개념어가 많습니다. 그런 경우, 구글에서 영문 정의를 검색한 뒤에 필요 시 파파고를 활용하는 편이 정확합니다. 이를테면 구글에서 ["above the line fiscal measures" refer to]를 검색하면 [“Above the line” measures refer to increases in government expenditures and reductions in tax revenues]로 시작하는 콘텐츠가 상위에 나옵니다. 이 정의에 의하면 [above the line fiscal measures]는 [확장재정 및 세금 감면 조치]라고 해석해도 무방하겠네요. 다만 본문의 맥락을 고려해서 적절치 않다면 다른 워딩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.

  • 어차피 영어-한국어, 국제기준-한국기준은 1:1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, 제 경우 가장 원문에 근접하면서 한국에서 통용되는 워딩을 쓰고, 필요 시 해당 번역을 해설하는 각주를 답니다.

무엇보다 쓴 사람이 합당한 기준을 갖고 있고 그것을 설명할 수 있으면 됩니다. 기자들이 물어보면 설명할 수 있게요. 저는 설명하기가 싫고 시간이 흐른 뒤 보면 기억 안날 수 있어서 각주를 상세하게 달아놔요~

  • 선호하는 용어를 선택한 뒤 각주에 [예정처의 경우 oo라고 번역하였는데, 본 보고서에서는 해당 용어에 대한 IMF의 정의(링크)에 기반하여 oo로 번역함] 까지 달아주면 일이 많지만 보고서의 공신력이 올라가겠죠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