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생태계서비스 평가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나라살림 위키
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
(새 문서: ==평가의 목적== 평가의 목적 <ref>출처<국립생태원(2019). 생태계서비스 법제화 및 정책 도입 방안 연구/ref> *생태계서비스 평가의 주요 목...)
 
 
10번째 줄: 10번째 줄:
 
*생태계서비스 평가는 Nature에 발표된 Costanza et al.(1997)의 연구가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국제적 평가자료로 2005년 UN에서 내놓은 ‘새천년생태계 평가(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, MA)’가 있다. 그 외에도 생태계서비스 관련 주요 평가에는 ‘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 연구(TEEB, The Economic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)’와 ‘전 지구 평가’ 등이 있다.
 
*생태계서비스 평가는 Nature에 발표된 Costanza et al.(1997)의 연구가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국제적 평가자료로 2005년 UN에서 내놓은 ‘새천년생태계 평가(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, MA)’가 있다. 그 외에도 생태계서비스 관련 주요 평가에는 ‘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 연구(TEEB, The Economic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)’와 ‘전 지구 평가’ 등이 있다.
  
:새천년생태계 평가
+
*새천년생태계 평가
::주체
+
:주체
::기간
+
:기간
::목적
+
:목적
::평가지표
+
:평가지표
::주요결과
+
:주요결과
  
: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연구  
+
*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연구  
::주체
+
:주체
::기간
+
:기간
::목적
+
:목적
::평가지표
+
:평가지표
::주요결과
+
:주요결과
  
:전 지구 평가
+
 
::주체
+
*전 지구 평가
::기간
+
:주체
::목적
+
:기간
::평가지표
+
:목적
::주요결과
+
:평가지표
 +
:주요결과

2020년 10월 5일 (월) 11:27 기준 최신판

평가의 목적

평가의 목적 <ref>출처<국립생태원(2019). 생태계서비스 법제화 및 정책 도입 방안 연구/ref>

  • 생태계서비스 평가의 주요 목표는 생태계와 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이익의 과거와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고, 그 변화를 일으킨 주요 원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. 또한, 생태계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여, 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이익을 향상시키는데 있다.


주요 평가

  • 생태계서비스 평가는 Nature에 발표된 Costanza et al.(1997)의 연구가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국제적 평가자료로 2005년 UN에서 내놓은 ‘새천년생태계 평가(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, MA)’가 있다. 그 외에도 생태계서비스 관련 주요 평가에는 ‘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 연구(TEEB, The Economic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)’와 ‘전 지구 평가’ 등이 있다.
  • 새천년생태계 평가
주체
기간
목적
평가지표
주요결과
  •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경제학연구
주체
기간
목적
평가지표
주요결과


  • 전 지구 평가
주체
기간
목적
평가지표
주요결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