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통합재정수지비율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둘러보기로 가기
검색하러 가기
(새 문서: =통합재정수지비율= *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, 특별회계,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치로서 내부거래 및 차입, 채무상환 등을 제...) |
잔글 (→통합재정수지비율) |
||
1번째 줄: | 1번째 줄: | ||
− | = | + | =정의= |
*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, 특별회계,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치로서 내부거래 및 차입, 채무상환 등을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를 의미합니다. | *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, 특별회계,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치로서 내부거래 및 차입, 채무상환 등을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를 의미합니다. | ||
* 산정기준 : 통합회계, 최종예산 | * 산정기준 : 통합회계, 최종예산 |
2020년 9월 21일 (월) 09:36 기준 최신판
정의
-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, 특별회계,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치로서 내부거래 및 차입, 채무상환 등을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를 의미합니다.
- 산정기준 : 통합회계, 최종예산
- - 통합회계 : 일반회계 + 공기업특별회계 + 기타특별회계 + 기금
- - 전국 및 시도별 평균 : 순계기준
- - 자치단체 : 총계기준
- 산정공식 : ((세입 - (지출+순융자))÷통합재정규모)×100(%)
- - 순융자 : 융자지출 - 융자회수
- - 통합재정규모 : 지출(경상지출 + 자본지출) + 순융자
- 기준연도 :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