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생태계서비스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둘러보기로 가기
검색하러 가기
(새 문서: ==생태계서비스== 정의 <ref>출처<국립생태원(2019). 생태계서비스 법제화 및 정책 도입 방안 연구/ref> *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이 직접적 혹은...) |
(→생태계서비스) |
||
1번째 줄: | 1번째 줄: | ||
− | == | + | ==정의== |
정의 <ref>출처<국립생태원(2019). 생태계서비스 법제화 및 정책 도입 방안 연구/ref> | 정의 <ref>출처<국립생태원(2019). 생태계서비스 법제화 및 정책 도입 방안 연구/ref> | ||
*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산물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의 능력 또는 혜택으로 정의할 수 있다. | *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산물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의 능력 또는 혜택으로 정의할 수 있다. | ||
8번째 줄: | 8번째 줄: | ||
::④ 생태계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실현되는 문화적 기능(cultural services)-정신적 및 종교적 가치, 지식 및 교육의 가치, 전통적 가치, 휴양 및 관광 자원 | ::④ 생태계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실현되는 문화적 기능(cultural services)-정신적 및 종교적 가치, 지식 및 교육의 가치, 전통적 가치, 휴양 및 관광 자원 | ||
:::MA(Millennium Eco-system Assessment)(2005) | :::MA(Millennium Eco-system Assessment)(2005) | ||
+ | ==생태계서비스 개념 전개과정== |
2020년 10월 5일 (월) 10:37 판
정의
정의 <ref>출처<국립생태원(2019). 생태계서비스 법제화 및 정책 도입 방안 연구/ref>
- 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산물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의 능력 또는 혜택으로 정의할 수 있다.
- 이러한 생태계서비스 혜택을 MA(2005)에서는 크게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.
- ① 다른 생태계서비스의 전제가 되는 유지 및 부양 서비스(supporting services)-토양 형성, 광합성, 일차생산, 영양물질 순환, 물 순환, 종자산포
- ② 생태계로부터 생산되는 생산물의 공급 기능(provisioning services)-식량, 섬유, 유전자원, 신선한 물, 광물질, 약용 자원
- ③ 생태계 과정들을 조절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절 기능(regulating services)-공기 질 조절, 기후 조절, 물 조절, 침식 조절, 물 정화 및 쓰레기 처리, 질병 조절, 위해 생물 조절, 수분, 자연적 위험 요소 조절
- ④ 생태계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실현되는 문화적 기능(cultural services)-정신적 및 종교적 가치, 지식 및 교육의 가치, 전통적 가치, 휴양 및 관광 자원
- MA(Millennium Eco-system Assessment)(2005)